국민연금 감액 계산, 이것만 알면 끝!
국민연금 감액이라니! 퇴직하고 간신히 재취업에 성공해서 인생 2막을 꿈꾸려는데, 국민연금이 깎인다고요? 정말 기가 막힌 일입니다. 일단 얼마나 깎이는지 계산부터 해보고, 하나하나 따져봐야겠습니다.
젊어서 착실히 국민연금 납부하고, 은퇴 후에도 어떡하든 일 좀 더 해보려 했는데, 너무나 어이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저뿐만은 아닌가 봅니다. 국민연금 감액제도의 불합리성이 점점 더 수면 위로 올라오고, 결국 폐지될 수 있다는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으니까요.
은퇴 후 일해도 국민연금 안 깎인다…'감액제도 폐지' 추진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은퇴 후 재취업하더라도 앞으로는 국민연금이 깎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www.yna.co.kr
다행스럽게도, 정부는 감액제도 폐지를 추진중이랍니다. 하지만, 이 기사가 나고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소식이 없네요. 아직도 갈 길은 멀어 보입니다. 이게 법으로 돼야 안심을 하고 노후를 설계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이죠.
그래서 좀 더 연구하고 철저히 노후를 대비하려고 준비했습니다. 국민연금 감액,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그간 공부한 내용을 아주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왜 국민연금이 깎일까?
국민연금은 노후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다만, 국민연금제도는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이며, 소득의 재분배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이 있는 것입니다.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연금이 깎이는 거죠.
하지만, 제가 보기에 연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나중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깎아버린다는 것은 정말 어불성설 같아 보입니다. 그럴 거면 아예 처음부터 제대로 설계를 해서, 열심히 성실 납부한 사람이 더 손해 보는 일이 없도록 했었어야 합니다.

국민연금 감액, 얼마나 깎일까?
도대체 국민연금이 얼마나 깍일지 정말 궁금하실 겁니다. 이 국민연금 감액제도가 너무 복잡해서 저도 처음엔 많이 혼란스럽더라고요. A값이 대체 뭔지, 감액률은 대체 뭔지, 어떤 소득은 깎이고 어떤 소득은 안 깎이는 건지 대체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리저리 궁리하다 국민연금 감액 계산기를 찾아냈어요. 나의 예상 월 소득액만 넣으면 바로 깎이는 돈이 얼마인지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더라고요. 머리가 너무 복잡했는데, 속이 시원해지더라고요! 여러분도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국민연금 감액 계산기
월소득이 353만원 발생한다면 국민연금이 대충 5만원 작게 나옵니다. 자세히 계산해보기.
pension.citygoat.net
이제 여러분도 국민연금이 대체 얼마나 깎일지 금액을 확인해 보셨나요? 그러면, 이제 왜 이렇게 깎이는지 구체적으로 국민연금 감액제도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국민연금 감액, 어떻게 이루어질까?
내가 넣은 국민연금 감액이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국민연금 감액제도를 잘 알아야 합니다. 감액 기준, 감액 대상 소득, 감액 조건, 감액 기간, 감액까지 국민연금 감액 제도, 하나씩 하나씩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감액기준: A값
A값은 국민연금 가입자들의 평균 월 소득을 의미하며, 매년 변동됩니다.
즉, 국민연금 가입자들이 평균적으로 한 달에 버는 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024년 기준으로 A값은 월 2,989,237원입니다."
- 감액 대상 소득: 사업소득과 근로소득이 감액 대상입니다. 이자, 배당금 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감액 기간: 연금 수령 개시 후 최대 5년까지 감액이 적용됩니다.
- 감액 사유: 노후에도 소득 활동을 하는 경우, 국가에서 노후 소득을 보장해 주는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감액을 적용합니다.
위 국민연금 감액제도 내용에 따라 A값을 초과하는 소득이 있으면 연금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좀 어려우시죠? 일단 소득이 있는 경우 월평균 소득 금액 산출 식을 자세히 알려 드릴게요.
이렇게 해서 자신의 월평균 소득을 아셨다면, A값(2,989,237원)을 빼 보세요. 100만 원 단위로 감액율이 달라지니 아래 감액률 표를 참고해 주세요.
A값 초과소득월액 |
노령연금 지금감액분 |
월 감액금액 |
100만원 미만 | 초과소득월액의 5% | 5만원 미만 |
100만원이상 200만원미만 |
5만원+ 100만원을 초과한 소득월액의 10% |
5~15만원 미만 |
200만원이상 300만원미만 |
15만원+ 200만원을 초과한 소득월액의 15% |
15~30만원 미만 |
300만원이상 400만원미만 |
30만원+ 300만원을 초과한 소득월액의 20% |
30~50만원 미만 |
400만원이상 | 50만원+ 400만원을 초과한 소득월액의 25% |
50만원 이상 |
소득구간별감액기준 (2015.7.29이후 수급권취득자) |
감액한도 노령연금의 1/2 |
|
소득구간별감액기준 (2015.7.29전 수급권취득자) |
지급개시연령부터1년마다 감액률차등적용 |
사례로 알아보기
국민연금 감액제도 보면 볼수록 어려우시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따지는 방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A 씨의 월 소득이 350만 원이라고 가정을 하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1. 초과 월소득 계산
350만 원에서 A값 299만 원을 빼시면 초과 월 소득이 51만 원이 됩니다.
2. 감액률 구간 찾기
그러면 위 표에서 감액률 구간이 100만 원 이하가 되겠죠?
3. 감액률 적용해서 감액금액 알아보기
그 구간의 기준에 의해 초과소득월액의 5%인 25,500원이 깎이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계산하시면, 감액 계산기가 없이도 자신의 연금이 얼마나 감액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예상되는 월 소득이 있는 분이라면, 반드시 감액금액을 확인해 보시고, 이해득실을 제대로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감액,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국민연금 감액을 계산해 보시면, 감액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지 고민되시는 분이 많을 것입니다. 당연히 있습니다!
연기 연금
국민연금은 받는 시기를 늦춰서 연기할 수 있는데 그것을 연기연금이라고 부릅니다. 연금 수령 시기를 늦추면, 당연히 연금액이 증가합니다. 이율이 꽤 높습니다. 연 7.2%로 최대 5년까지 연기할 수 있으며, 매월 연기를 할 때마다 0.6%씩 증가합니다.

하지만, 돈을 많이 받는다고 해서 정말 좋을까요? 연기연금의 유불리를 따질 때 가장 큰 변수인 인간수명이란 것을 모르는 사람이 누가 있겠습니까? 그래서, 연기 연금이건 조기 수령하는 조기 연금이건 자신의 상황, 즉 건강상태나 재정상태에 맞게 잘 따져서 해야 노후가 편안합니다.

아래 글에서는 국민연금 연기 수령할 때 고려할 사항들에 대해 잘 정리해 놓았으니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연기수령 고려할 이유 5가지
혹시 국민연금 연기수령 고려해 보신 적 있나요? 평생 우리 남은 노후를 책임져야할 연금이기에 어떤 선택도 참 쉽지 않으실 겁니다. 요즘은 국민연금 조기수령하는 사람이 점점 들어나고, 또
www.mqueue.kr
소득 감소
사업소득이나 근로소득을 줄이면 당연히 국민연금 감액되는 금액이 줄어듭니다. 소득으로 인해 연금 감액이 크다면 이 또한 이해득실을 따져 적당한 소득으로 맞춰보는 것도 답입니다. 물론 소득을 본인의 마음대로 조정하기가 쉽지는 않겠죠. 하지만, 간혹 소득 조정이 가능한 사업 분야도 있을 테니 해당되는 분이시라면, 반드시 손익분기점을 계산해 보세요!
국민연금 감액, 꼭 알아야 할 점!
국민연금 감액제도에서 꼭 알아야 할 점 몇 가지 짚어드리겠습니다.
사업소득과 근로소득만 감액 대상
월평균 소득에 들어가 국민연금이 깎이는 대상은 사업소득과 근로 소득 딱 두 가지뿐입니다. 이자나 배당금은 감액 대상이 아니에요. 하지만 부동산 임대를 주고 임대 소득이 있다면, 좀 헷갈리실 수도 있겠네요. 집에 월세를 받고 계신 분이라면 그것은 임대 사업소득에 해당됩니다. 임대 소득도 사업소득에 해당된다는 좀 꼭 기억하세요!
최대 감액률 50%
아무리 소득이 많아도 연금이 절반 이상 깎이지는 않습니다.

연금 감액은 최대 5년까지만 가능
국민연금 수령 시작 후 5년까지만 깎입니다. 5년 후에는 소득이 많아도 제대로 정상적으로 받을 연금액을 수령할 수 있어요!
혹시라도 계속 소득이 늘지 않을게 예상된다면, 연금을 연기하고, 소득이 줄어든 후에 받으시면 이중으로 이득입니다. 돈을 계속 벌어도 연금이 깎이지 않아 좋고, 연금을 연기하니 7.2%까지 이자가 늘어나니까요! 연기 국민연금은 역시 5년까지 늦춰 받을 수 있습니다.
출생연도 | 노령연금개시나이 | 연기 가능한 나이 |
1952년 이전 | 60 세 | 65 세 |
1953~1956년 | 61 세 | 66 세 |
1957~1960년 | 62 세 | 67 세 |
1961~1964년 | 63 세 | 68 세 |
1965~1968년 | 64 세 | 69 세 |
1969년 이후 | 65 세 | 70세 |
혹시 본인이 연금 받는 나이가 63세인데, 그게 몇 년도 몇 월부터 개시되어 연금을 받는지 모르신다고요? 그럼 연금 수령 나이 계산기 돌려보시면 지금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국민연금 감액, 한 번 알고 보니 그렇게 어렵지는 않으시죠? 혹시 아직도 어려우시다면 더 이상 걱정하지 마세요! 국민연금 감액 계산기를 이용하여 나에게 맞는 정확한 정보를 얻고, 연기 연금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유리한 선택을 하세요.
국민연금 감액 계산기
월소득이 353만원 발생한다면 국민연금이 대충 5만원 작게 나옵니다. 자세히 계산해보기.
pension.citygoat.net
우리의 노후는 결국 우리 스스로 제대로 알고 설계할 때 가장 확실하게 보장됩니다. 이 글을 쓰느라 이것저것 알아보고 따져보니 뭔가 불확실했던 노후가 조금은 보이기 시작하는 기분이 드네요.

그래서 저는 이제 국민연금부터 하나씩 하나씩 제대로 배워가 보려고 합니다. 궁금한 점을 서로 묻고 배우며, 여러분도 저와 함께 슬기롭게 은퇴 준비해 갑시다! 파이팅~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67년생 국민연금 조기수령, 얼마나 감액될까요? (2) | 2024.09.05 |
---|---|
국민연금, 언제 받는 게 좋을까? 조기 수령 vs. 연기 수령 완벽 정복! (10) | 2024.09.04 |
조기노령연금 수령, 선택 이유 3가지 (4) | 2024.09.04 |
국민연금 조기수령, 일찍 받으면 손해연금? (8) | 2024.09.04 |
국민연금 수령 나이, 계산기로 확인부터 하세요. (9)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