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언제 받는 게 좋을까? 조기 수령 vs. 연기 수령 완벽 정복!
국민연금, 언제 받는 게 좋을지 고민되시나요? 미리 앞당겨 받는 조기 수령과 나중으로 연기해서 수령하는 방법이 있다는 것 알고 계실 겁니다.
퇴직을 앞두고 있는 50대의 한 사람으로서, 저도 가장 고민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국민연금입니다. 빨리 받고 싶은 마음도 있지만, 더 많이 받고 싶은 마음도 들고...
정말 어렵죠? 오늘은 조기 노령연금과 연기 연금, 두 가지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여러분과 함께 저의 고민도 해결해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기 노령연금: 빨리 받는 대신 적게 받는다
조기 노령연금은 말 그대로 예정된 나이보다 빨리 연금을 받는 거예요. 최대 5년까지 앞당길 수 있죠. 하지만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에요. 빨리 받는 대신 연금액이 최대 30%까지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어요.
조기 수령 예를 들어볼까요?
65세에 월 200만 원의 연금을 받을 예정이었던 분이 60세에 조기 수령을 시작하면, 월 140만 원 정도로 줄어들어요. 즉, 5년 동안은 덜 받는 대신 빨리 받는 거죠.
본인의 예상 수입을 어느 정도 대략 알고 계신다면, 국민연금을 조기에 수령 했을 때 얼마를 받는지 지금 바로 계산부터 해보세요. 얼마를 받을지 알아야 손익을 따져 볼 수 있으니까요!
국민연금 조기수령 금액 계산기
예상 국민연금이 100만원이면, 5년 당겨받으면 70만원으로 줄어듭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pension.citygoat.net
조기 수령이 무조건 손해일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사람마다 연금 받는 나이가 달라 손익 분기점이 다르죠. 누구도 언제 죽을지 아는 사람은 없고, 경제 상황이 어떻게 될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없겠죠.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정상 시기에 수령한 사람이 더 많은 연금을 받게 된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건강 상태나 수명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연기 연금: 늦게 받는 대신 많이 받는다
연기 연금은 정해진 시기보다 늦춰서 연금을 받는 방법이에요. 최대 5년까지 연기할 수 있으며, 연기할수록 연금액이 늘어나요. 한 달에 0.6%씩 증가하니까, 5년을 연기하면 최대 36%까지 연금액이 늘어나는 셈이죠.

연기 국민연금 예를 들어볼까요?
200만 원의 연금을 65세에 받을 수 있는 분이 5년을 연기해 70세에 받는다면, 연기비율을 100%로 했을 때 월 272만 원으로 늘어나요. 즉, 5년 동안은 연금을 못 받지만, 그 대신 나중에 더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는 거죠.

본인의 연금액을 대략 알고 계신다면, 국민연금의 몇 %를 얼마동안 연기해서 수령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연금 액수, 지금 바로 계산부터 해보세요. 이것 역시 언제 얼마를 받을지 알아야 손익을 따져 볼 수 있으니까요!
국민연금 연기수령 계산기
국민연금 좀 더 늦게 받고, 더 많이 받고 싶다면! 자세히 계산해보기.
pension.citygoat.net
국민연금 연기시 주의할 점은?
투자 수익률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연금액을 5%의 수익률로 투자했다면, 연기 연금을 받는 것이 오히려 85세 이후에 손해가 될 수도 있죠.
또한 건강이 좋지 않아 일찍 사망한다면 절대 이익이 아니겠죠? 노령 연금은 그 어떤 투자 수익률보다, 자신의 건강 상태가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 꼭 기억하셔야 해요!
조기 수령 vs 연기 수령
- 조기수령은 1년 당길 때마다 정상연금 대비 6.0%씩 감액되며, 최대 5년 조기수령 시 30,0%가 감액됩니다.
- 연기수령은 1년 늦출 때마다 정상연금 대비 7.2%씩 증액되며, 최대 5년 지연수령 시 36.0%가 증액됩니다.
나에게 맞는 선택은?
국민연금 조기 수령과 연기 수령, 둘 다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해야 해요.
앞당겨 받는 조기 수령
돈이 필요한 상황이거나 건강이 좋지 않아 오래 살기 어려울 것 같다면 조기 수령이 유리할 수 있어요.
늦춰 받는 연기 수령
건강이 좋고 오래 살 것 같거나, 투자를 통해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면 연기 연금이 유리할 수 있어요.
어떤 선택을 하든,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입니다.
결론
국민연금, 언제 받는 게 좋을까요? 정답은 없습니다. 개인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죠. 아래 계산기를 돌려보고, 자신의 연금 수령시기를 선택해 보세요! 우리 노후는 정확한 데이터에 근거해야 확실하니까요!
이제 언제 국민연금 수령할지 대략 감을 잡으셨나요? 저는 이 글을 쓰면서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여러분도 이 글을 통해 조금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기노령연금, 더 많이 받고 싶다면? 지급 정지로 늘어나는 연금액 (8) | 2024.09.05 |
---|---|
1967년생 국민연금 조기수령, 얼마나 감액될까요? (2) | 2024.09.05 |
조기노령연금 수령, 선택 이유 3가지 (4) | 2024.09.04 |
국민연금 감액 계산, 이것만 알면 끝! (8) | 2024.09.04 |
국민연금 조기수령, 일찍 받으면 손해연금? (8)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