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소형화, 진공관에서 트랜지스터로, 원리와 중요성
컴퓨터의 소형화, 진공관에서 트랜지스터로, 원리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 포스팅 글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3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컴퓨터 프로그래머이자 개발자로, 컴퓨터 기술의 발전을 직접 목격해 온 사람입니다. 저에게 이 컴퓨터의 소형화는 정말 혁명적인 일입니다. 대학교 전산실에서 저는 컴퓨터라는 기계를 생전 처음으로 보았습니다. 당시 그 크기에 눈이 휘둥그레졌었던 기억이 납니다. 불과 30년 전만 해도 컴퓨터는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한 기계였습니다. 전산실은 마치 공장처럼 거대하고 복잡한 기계들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특히 진공관을 사용한 초기 컴퓨터는 그 크기와 열 방출량 때문에 특별히 관리가 필요했습니다. 매일 아침 전산실에 가보면, 그곳을 관리하는 선배님은 진공관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고장 난 진공관을 교체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그게 일상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떻습니까? 손바닥 안에 들어오는 작은 스마트 폰도 아주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입니다. 이런 일이 어떻게 생겼을까요?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진공관에서 트랜지스터로
진공관에서 트랜지스터로라는 말에는 엄청난 컴퓨터의 역사가 다 들어 있습니다. 이것은 전자공학의 혁명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변화입니다. 제가 처음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었을 때, 마치 옛날 흑백 TV에서 최신 스마트폰으로 변한 것처럼 신기하고 재미있게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여러분들도 그때 제가 느꼈던 그 감정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가급적 쉽게 풀어서 얘기를 들려드려 보겠습니다.
먼저, "진공관"이라는 것을 알아볼까요? 진공관은 아주 오래된 전자 부품입니다. 마치 전자제품의 할머니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진공관은 전기를 조절해서 소리나 영상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옛날 라디오, TV,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진공관은 크고, 무겁고, 열도 많이 나서 금방 뜨거워져버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자제품이 크고 무거웠고, 금방 고장 나기도 했던 겁니다. 제가 30년 전 대학교 전산실에서 봤던 엄청나게 컸던 컴퓨터처럼 말입니다.
그런데 과학자들이 더 작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47년 벨 연구소의 존 바딘, 월터 브래튼, 윌리엄 쇼클리 세 명의 과학자는 트랜지스터를 발명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트랜지스터"를 발명했습니다. 트랜지스터는 진공관보다 훨씬 작고 가볍습니다. 마치 큰 돌멩이 대신 작은 구슬을 사용하는 것처럼 모든 것이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는 열도 덜 나고,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자제품이 더 작아지고, 가볍고, 튼튼해질 수 있었던 겁니다. 이처럼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재료를 이용해 전류를 제어하는 장치로, 진공관의 기능을 대체하면서도 크기가 작고, 열 발생이 적으며,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트랜지스터 덕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자면,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는 모두 트랜지스터 덕분에 가능한 것입니다. 만약 아직도 진공관을 사용했다면, 우리는 지금도 큰 라디오나 무거운 TV를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스마트폰이 주머니에 들어갈 크기로 작아진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트랜지스터는 또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바로 전기를 더 적게 사용해서 환경에도 더 좋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전자제품이 더 오래 사용 가능하고, 전기 요금도 덜 나와서 경제적이기까지 하니 이것이 일거양득 아니겠습니까?
원리와 중요성
트랜지스터의 원리와 중요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앞에서 보았다시피 트랜지스터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텔레비전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그럼 트랜지스터가 무엇인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그 중요성은 무엇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먼저, 트랜지스터는 무슨 일을 할까요? 트랜지스터는 전기를 흐르게 하거나 막을 수 있는 작은 스위치 같은 역할을 합니다. 아주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지만, 그 역할은 정말 엄청나게 큽니다. 그래서 저는 저 트랜지스터처럼 ‘작지만 큰 역할을 하고 싶다’는 소망을 담아서 제 별명을 트랜지스터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제 별명 멋지지 않습니까?
트랜지스터는 주로 실리콘이라는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이 실리콘은 반도체라는 특별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전기가 흐를 수도 있고, 흐르지 않을 수도 있는 신기한 물질이랍니다. 이 물질적 특성 때문에 트랜지스터는 크게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첫 번째는 전류를 증폭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라디오를 들을 때 아주 약한 전파 신호를 크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두 번째는 스위치 역할을 합니다. 조금 어려운 전문 용어로 말씀드리자면, 트랜지스터는 크게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로 나뉩니다. BJT는 전류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며, FET는 전압을 증폭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에서 0과 1로 정보를 처리할 때, 트랜지스터가 전기를 흐르게 하거나 막아서 0과 1을 구분하게 해 줍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가 많이 모여 있으면, 복잡한 계산도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제 트랜지스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원리를 알아볼까요? 트랜지스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베이스(Base), 이미터(Emitter), 그리고 컬렉터(Collector)입니다. 베이스에 약간의 전류를 흘려주면, 이미터에서 컬렉터로 더 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마치 작은 힘으로 큰 문을 여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렇게 작은 신호를 크게 만들어주는 것을 증폭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트랜지스터의 중요성은 무엇일까요? 트랜지스터가 없다면,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전자 기기가 지금처럼 작고 효율적이지 못할 것입니다. 예전에는 진공관이라는 큰 장치를 사용했는데,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면서 전자 기기가 작아지고, 더 빠르고, 더 에너지 효율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트랜지스터 덕분에 스마트폰도 주머니에 쏙 들어갈 수 있는 크기가 된 것입니다. 또한, 트랜지스터는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습니다. 수많은 트랜지스터가 모여서 복잡한 계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검색하거나, 영화를 스트리밍 하는 것이 가능해졌답니다.
컴퓨터 소형화의 시작
컴퓨터의 소형화의 시작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이 어떻게 이렇게 작고 강력해질 수 있었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딱 한 단어로 답하라 하면, 저는 무조건 트랜지스터 덕분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전기를 제어하고 증폭하는 아주 작은 장치인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면서 컴퓨터는 점점 작아지고, 더 강력해질 수 있었습니다. 트랜지스터는 작고, 전기도 적게 쓰고, 열도 많이 나지 않아서 컴퓨터 부품으로 매우 적합했답니다. 1950년대 후반부터 트랜지스터가 컴퓨터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컴퓨터는 점점 더 작아지고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이후 1960년대 70년대 80년대를 거치면서, 컴퓨터의 발전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기 시작했습니다. , 그러니까, 트랜지스터는 이 모든 발전의 기폭제이자, 컴퓨터 소형화의 시작이었던 것입니다.
이상, 컴퓨터의 소형화, 트랜지스터의 원리와 중요성을 알아보았습니다. 지금 이 순간도 어쩌면 여러분은 지금 현재도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같은 휴대용 기기들로 이 글을 읽고 계실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은 트랜지스터와 집적 회로 덕분에 가능해졌다는 것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트랜지스터’라는 별명을 가진 개발자인 저도, 저의 작은 기술들이 여러분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트랜지스터’라는 이름에 걸맞도록 더욱 노력해 보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직접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용 컴퓨터의 탄생 : 알테어 8800, 애플 I과 애플 II, IBM PC (0) | 2024.07.16 |
---|---|
컴퓨터 집적 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 (0) | 2024.07.16 |
제2차 세계 대전과 컴퓨터: 암호 해독기, 앨런 튜링, 전쟁의 영향 (0) | 2024.07.16 |
컴퓨터의 아버지와 첫 프로그래머의 만남 (0) | 2024.07.16 |
컴퓨터의 탄생 : 이름의 의미, 파스칼 계산기, 애니악 (0) | 2024.07.16 |